728x90 전체 글60 주식 투자시 들어가지 말아야 할 포인트 1. 긴 꼬리가 발생했을때 고점에서 긴 꼬리가 나타났을때 들어가면 대형주라도 물린다. 2. 갭 상승 장대 음봉이 발생했을때 세력이 터는 시기. 불꽃 거래량을 동반하며 더 갈것 같이 개인투자자, 초단타, 단타를 모은다. 결국 하락하며 원위치로 돌아오더라. 3. 고점에서 상한가 치면서 올라갈때 고점 상한가가 풀리자마자 -20% 하락 발생한 케이스 개인 투자자는 장초반 보다는 추이를 지켜보고 장 후반이나 종가에 들어가는게 낫다. https://youtu.be/aj2ttBKK3t0 2023. 1. 20. 적금 선납이연에 대해서 선납이연에 대해 찾아보고 이해해보았다. 개념 설명 및 방식에 대한 설명은 수많은 포스팅이 있으니 생략하고, 간단히만 언급하자면.. 1. 개념 및 방법 1) '선납(미리 납부)'과 '이연(늦게 냄)'의 + - 를 합쳐 0 이 되면 납부한 것으로 인정 2) 보통의 적금처럼 매달이 아닌, 12개월 기준으로 2번 또는 3번 정도만 일정 금액을 나눠서 불입함. - 첫번째 납부 이후, 남은 여윳돈은 두번째 또는 세번째 납입기간 사이에 예금(6개월) 또는 자유적립식 적금을 가입하여 굴림(=자유적립식 적금은 예금처럼 활용 가능). 한마디로, (예금을 가입할 수 있는) 목돈이 있지만 적금 상품을 이용하고 추가로 예금 또는 자유적립식 적금과 대출(적금 마지막 납입일 1~2일전에 대출 실행)을 이용하면서 이자 수익을 극대화.. 2023. 1. 11. 애드센스 승인 받다 - 이유 분석 우와~!! 기념비적인 날이다. 전혀 기대하지 않고 있었던 애드센스 승인 메일이 날아왔기 때문이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며 글은 꾸준히 쓸거라, 기왕이면 애드센스도 붙여보자 하고 시작했는데, 아직 일 방문자 수도 적고 글도 많은 편이 아니라서, 안되면 계속 도전하면 되지 란 생각으로 신청했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승인해준게 신기할 정도인데, - 일 방문자는 10~20명 정도, 10명이 안될 때도 있다. - 게시글은 총 20개 정도 - 요근래 포스팅을 자주 했음 - 메인 주제는 경제, ux 인데 거의 경제 관련 글임 12년전 개설하고 거의 사용을 안하다가, 경제공부 겸 글쓰기를 결심하고 몇 개 쓴 후 1년 넘게 방치되어 있다가, 최근에 다시 쓰기 시작하면서 신청했는데, 1일 1 포스팅을 하려고 노력했던 것 같.. 2023. 1. 9. 환율과 금리(불가능한 삼위일체) '불가능한 삼위일체'란.. 자유로운 자본 이동, 안정적인 환율, 독립적인 통화정책(금리)을 동시에 달성할 수는 없다는 이론이다. '국제금융의 트릴레마(3가지 딜레마)' 라고도 한다. 자본 유출입을 자유화하면서 환율과 금리를 동시에 잡을 순 없다. 낮고 안정된 환율을 유지하려면 낮은 금리를 포기해야 한다. 등등 예시) 자본이동이 자유롭고, 환율안정을 위해 고정환율을 채택한 나라가 있다고 가정하자. 경기침체가 와서 고정금리를 인하한다면 위의 3가지 요소를 모두 선택한 것이다. 이때 국내에 있는 해외자금이 금리가 높은 해외로 유출되고, 국내자금도 외화자금의 형태로 유출된다. 환율이 고정되어 있으니 환전 손실이 없다. → 나가려면 달러로 바꿔야 하니 달러는 수요가 늘고, 자국 통화는 공급이 늘어 자국통화의 가치.. 2023. 1. 4. 주택담보대출과 LTV, DSR, DTI 1. LTV(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대출비율, 전체 담보가액 중 얼마만큼의 비율로 대출을 해줄 것인가 (은행의 대출금액) / (주택 담보가치) X 100 - 주택의 가치는 KB 시세, 한국 감정원 시세, 국세청 기준시가, 감정평가금액 중 하나를 기준으로 함 (아파트는 시세, 빌라 및 다세대 주택은 시세 파악이 어려우므로 감정가를 기준으로 함) 예시) LTV가 40%일 때, 10억원의 주택은 4억까지 대출 가능함 2. DTI(Debt to income ratio) : 총부채 상환비율, DTI가 낮을수록 상환 능력이 좋음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 기타 대출 이자) / 연 소득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 기타 대출 원리금) / 연 소득 *신DTI - 연간 상환금액을 연 소득의 일정 비율.. 2023. 1. 3. 주택청약 신청 가능여부 판단해보기(규제, 자금조달계획서, 추첨제 가점제) 현재 기준으로 주택 신규분양 청약 시 고려해야 할 점들 (최근 변경된 규제 위주) 1. 중도금 대출은 12억 이하까지 (분양가 + 옵션가인지?) ☞ '23년1월3일 발표내용) 분양가 상한기준을 폐지해 분양가에 관계없이 모든 분양 주택에서 중도금 대출을 받을수있고, 중도금 대출 인당 한도도 폐지할 예정, '23년 1분기 내 시행할 예정. 2. 1 주택자의 경우, 기존주택 처분기한은 2년까지 ☞ 기존 주택 처분 의무 없어짐 3. 추첨제, 가점제 : 2023년부터 중소형 면적(전용 85㎡ 이하)에도 추첨제가 확대 적용된다. 4.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실거주 의무도 없어짐. 즉, 입주시 바로 전세를 놓을수있게 되었다는 얘기. 5. 전매제한 기간 완화됨. 수도권의 경우 공공택지와 규제지역은 3년, 과밀억제지역은 .. 2023. 1. 2. 이자소득세 줄이는 법(세금우대, 저율과세) 예적금 만기 이후 받는 이자에서 떼게 되는 이자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으로 '저율과세'가 있다. 저율과세 다음과 같은 은행(주로 제2금융권)의 조합원으로 가입한 후 출자금을 납입하고 출자금통장을 만들면, 예금, 적금을 가입할때 저율과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신협, 지역농협, 새마을금고, 수협 등). 이자소득세율 15.4% = 이자소득세 14% + 지방세(농특세) 1.4% 저율과세란 여기에서 이자소득세를 면제해 주는 것을 말한다. 1인당 원금 3천만원 한도로 적용받을수 있으며, 금융사별 관계없이 여러 계좌로 쪼개서 가입하고 총합 3천만원 이내까지 적용 받을 수 있다. 저율과세로 얻은 이자는 금융소득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자 및 배당 소득이 연 2천만원이 넘으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다른 소득과 합산.. 2022. 12. 26. 주식을 사야하는 타이밍 주식은 언제 사야하는가 - 주가가 폭락했을때 - 나라가 망한다는(?) 소리가 들릴 때 - 9시 뉴스에 외환위기 얘기가 나올때 - 공포에 떨며 모두가 팔 때 달러를 사놓은 돈으로 산다. 달러는 언제 사야하는가 : 스위칭 전략 (우리나라는 수출기업 위주라 선진국이 우리에게 물건을 사줄 때 주가가 오른다) - 미국의 매출이 늘어날 때 - 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이 늘 때= 소매 판매가 3개월 연속 늘어날 때 한국 주식을 산다. - 미국 소비자 지출이 불황으로 3개월 연속 감소할 때 미국 국채를 산다. 원화는 현금이 아니다. 변화에 약하다. 미국 국채가 현금이다. 2022. 12. 25. 우리은행 데일리워킹 적금 가입후기 연 11% 이율로 떠들썩했던 적금 상품이다(10만 계좌 한정). 6개월 만기, 불입한도는 1달에 30만원이라길래 풋~하고 재미로 신청했었는데 당첨 문자가 왔다(6개월 기간이니, 5.5% 적금인 셈이다). 마케팅 수법에 짜증이나서ㅎㅎ 가입할 생각이 전혀 없었는데 링크를 타고 구경하다가, '하루 1만원씩 아끼기' 프로젝트인데 이자도 5.5% 받는다라고 생각하면 해봐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적금 상품들 금리가 1년 기준 최대 6~7% 하는것 같다. 매일 하루에 최대 1만원까지 불입할 수 있고(계좌 자동이체), 하루 1만보 걷고 앱 로그인하여 확인을 누르면 그 날은 10% 가산금리가 적용되어 총 11% 금리가 붙는다. 만약 1만보 걷기에 실패하면 그 날만 금리 1%로 적용된다. 요렇게 미리 가입.. 2022. 12. 24.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