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재테크/부동산3

주택담보대출과 LTV, DSR, DTI 1. LTV(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대출비율, 전체 담보가액 중 얼마만큼의 비율로 대출을 해줄 것인가 (은행의 대출금액) / (주택 담보가치) X 100 - 주택의 가치는 KB 시세, 한국 감정원 시세, 국세청 기준시가, 감정평가금액 중 하나를 기준으로 함 (아파트는 시세, 빌라 및 다세대 주택은 시세 파악이 어려우므로 감정가를 기준으로 함) 예시) LTV가 40%일 때, 10억원의 주택은 4억까지 대출 가능함 2. DTI(Debt to income ratio) : 총부채 상환비율, DTI가 낮을수록 상환 능력이 좋음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 기타 대출 이자) / 연 소득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 기타 대출 원리금) / 연 소득 *신DTI - 연간 상환금액을 연 소득의 일정 비율.. 2023. 1. 3.
주택청약 신청 가능여부 판단해보기(규제, 자금조달계획서, 추첨제 가점제) 현재 기준으로 주택 신규분양 청약 시 고려해야 할 점들 (최근 변경된 규제 위주) 1. 중도금 대출은 12억 이하까지 (분양가 + 옵션가인지?) ☞ '23년1월3일 발표내용) 분양가 상한기준을 폐지해 분양가에 관계없이 모든 분양 주택에서 중도금 대출을 받을수있고, 중도금 대출 인당 한도도 폐지할 예정, '23년 1분기 내 시행할 예정. 2. 1 주택자의 경우, 기존주택 처분기한은 2년까지 ☞ 기존 주택 처분 의무 없어짐 3. 추첨제, 가점제 : 2023년부터 중소형 면적(전용 85㎡ 이하)에도 추첨제가 확대 적용된다. 4.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실거주 의무도 없어짐. 즉, 입주시 바로 전세를 놓을수있게 되었다는 얘기. 5. 전매제한 기간 완화됨. 수도권의 경우 공공택지와 규제지역은 3년, 과밀억제지역은 .. 2023. 1. 2.
주택 양도세 기본개념 및 세율 정리 1주택자(기본) - 양도가액이 9억 이하이어야 비과세가 적용되며, 그 이상일 경우 9억까지만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 1세대 1주택 비과세 조건 : 조정대상지역일 때 취득한 주택(2017.8.3 이후 취득한 주택)을 2년 보유하고 + 보유 기간동안 2년 이상 거주해야 합니다. 기본세율표(2021)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200만원 이하 6 - 1,200~4,600만원 15 1,080,000 4,600~8,800만원 24 5,220,000 8,800~1억5천만원 35 14,900,000 1억5천~3억원 38 19,400,000 3~5억원 40 25,400,000 5~10억원 42 35,400,000 10억원 초과 45 65,400,000 * 모든 소득세에는 지방소득세 10% 추가과세 1. .. 2021. 8.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