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IRP, 연금저축펀드, ISA 비교 및 과세 정보
DC(확정기여형) IRP 연금저축펀드 ISA 투자가능상품 위험자산은 최대 70% -예금, ELB, GIC -펀드, TDF, ETF, 채권, 상장리츠 (인버스,레버리지,해외상장,파생상품 위험평가액 40%초과 ETF, 개별주는 거래불가) ETF, 채권, 리츠 국내상장주식, 펀드, ETF, 리츠, ELS, ELB, 예금, RP 등 (레버리지 거래가능) 세액공제 없음 (개인 납입금은 가능하나, 총 한도를 고려하면 IRP+연저펀에 넣는게 나음) 있음 -세액공제율은 각각 13.2% 또는 16.5% -납입한도는 합산하여 연 900만원 :각각 연 900만원(IRP+DC개인), 연 600만원(연저펀) 없음 세제혜택 과세이연 효과 -주식 투자 배당금은 소득세(15.4%) 면제 과세이연 효과 과세이연 효과 -3년후에 손익통..
2023. 2. 16.
연금저축과 퇴직연금(IRP) 특징 비교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한도 1. 연 600만원 2. 최대 환급세액: 99만원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시 79.2만원) 3. 세액공제율: 16.5%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시 13.2%) 1. 연 900만원 2. 최대 환급세액: 148.5만원 (종합소득 4,500만원 초과시 118.8만원) 3. 세액공제율: 16.5%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시 13.2%) 합산하여 연 900만원 납입한도 연 1,800만원 연 1,800만원 합산하여 연 1,800만원 투자가능 상품 펀드, ETF 펀드, ETF, 원리금보장형상품 수수료 상품별 수수료 상품별 수수료, 운용/자산관리수수료 연금수령조건 - 연령 : 만 55세 이상 - 가입기간: 5년 이상 - 연금수령 최소기간: 10년(5년) *10년 미만 수령..
2023. 1. 23.
퇴직연금(DC형, IRP형) 및 디폴트 옵션
세 유형의 차이점은 이전 포스팅이 있으니, 개인이 직접 운용하는 DC형과 IRP형과 작년 새롭게 도입된 디폴트 옵션에 대하여 정리한다. 퇴직연금 개념 정리(DB, DC, IRP) DB(확정급여형), DC(확정기여형), IRP(개인형퇴직연금) 지금까지 본 설명 중에 슈카월드에서 가장 쉽고 깔끔하게 해놓았길래 가져와서 정리한다. 퇴직금은 퇴직시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는데, 재 katieworld.tistory.com 근로자라면 DB형 또는 DC형의 형태로 퇴직연금에 가입해야 하고, IRP는 소득이 있다면(자영업자, 프리랜서도 가능) 누구나 개인이 직접 가입할 수 있는 유형이다. IRP형 - 연간 1,800만원까지 납부 가능 - 만 55세부터 수령 가능하며, 중도인출 불가 예외) 무주택자가 본인명의 주택 구..
2023.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