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60

외화 보관방법(외화예금, 외화RP) 환율이 좋을때 환전해놓고, 당장 투자하지 않을경우 거치해놓아야할 경우가 있다. 주로 다음의 두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1. 외화예금(정기예금, 보통예금) 은행의 외화예금 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당연한 얘기지만 은행마다, 상품마다 특징이 조금씩 다르니 원하는 조건을 비교해보고 가입한다. - 달러 말고도 여러 종류의 통화를 예치할 수 있다. - 1개월부터도, 월 단위로도 가입 가능하다. - 적립일,납입횟수,적립금액에 제한이 없다. - 일정기간부터 이자 손해없이 출금이 가능한 상품도 있다. -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 됨 - 이자소득세 15.4%, 환차익 추가 계산, 원화로 다시 환전시 환전수수료 제함 2. 외화RP 증권사의 RP 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 달러형 RP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다른 외화는 찾아보기 .. 2022. 12. 24.
환매와 펀드(사모펀드) 환매란 투자자가 투자신탁회사에 맡긴 돈을 찾는것이다. 환매시 투자신탁회사가 운용해준 수고비 개념으로 환매 수수료가 붙는다. 환매조건부 채권이란, 금융기관이 투자자에게 판매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이자를 붙여 다시 사가는 채권을 말한다. 증권 상품에 있는 RP가 이것이다. 펀드에는 공모와 사모가 있는데,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들을 모아 비공개적으로 운용한다. 투자 대상이나 비중에 제한이 없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으며, 사적인 계약형태이므로 금융기관의 제재를 받지 않고 공시 의무도 없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23/2019082302164.html 사모펀드 최소 투자금액은 1억에서 3억으로 늘어났다고 한다. 불량한 사모펀드의 환매 중.. 2022. 12. 23.
일본 금리인상 효과 일본이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BOJ에서 발표하였다(정확히 말하면 YCC 정책상 장기 금리 변동 허용폭을 0.5까지 상향 조정). * YCC는 국채를 정해진 가격에 무제한 매입하여 국채 금리를 고정시키는 정책.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들이 (해외 채권 자산을 팔고 그렇게 받은 달러를 팔고 엔화를 사서) 일본으로 들어오므로(=엔캐리 청산) 엔화가 강세가 되고 달러는 약세가 된다. 미국채를 매도하고 달러를 사면 미국 국채 금리가 올라가고(미국 국채 가격 하락), 달러를 매도하고 엔화를 매수하면 엔화 가치가 상승한다. 금리도 오르면 엔 강세로 인해 환차손이 생기고 그렇다면 시장이 빠르게 위축될 수 있다. 유동성이 축소된다. 결과적으로 주식 및 채권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 2022. 12. 22.
환율의 기본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실물 경기 - 무역으로 인한 달러의 공급 및 유출, 수출이 잘되면 달러가 들어오므로 달러/원 환율 하락(=원화가치 상승) - 국제유가의 상승으로(우리나라는 원유 전량 수입, 달러가 빠져나감) 수입액이 커져서 무역 적자가 나타나면 달러/원 환율 상승 2. 금융 시장 - 외국인이 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한국 주식 매수,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야 함 -> 코스피 상승 - 외국인이 한국 채권 매수,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야 함 -> 채권 가격 상승 (업데이트중..) 2022. 12. 21.
채권과 금리 및 투자방법 채권과 금리 및 대응전략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투자를 하면 안된다. 장기채(5년 이상)는 위험하다.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이 오른다. 금리가 내려가면 장기채가 좋다. 국채도 원금 손실이 난다. 금리 인상의 마지막 사이클에는 장기채를 분할해 넣는다.(타이밍은 아무도 맞출수 없으므로)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면 이는 경기 침체의 전조로 여겨진다. 관련내용 예시) 나의 생각) 채권은 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시간 돈이 묶여있어야 하므로, 유동성이 적어도 상관없는 연금저축펀드 같은 계좌에서 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예) 채권형 ETF (업데이트 중..) 2022. 12. 20.
퇴직연금 개념 정리(DB, DC, IRP) DB(확정급여형), DC(확정기여형), IRP(개인형퇴직연금) 지금까지 본 설명 중에 슈카월드에서 가장 쉽고 깔끔하게 해놓았길래 가져와서 정리한다. 퇴직금은 퇴직시 연금 형태로 받을 수 있는데, 재직 기간동안 회사에서 차곡차곡 쌓아주는 돈 외에 개인이 따로 추가 불입해도 된다. ★퇴직 연금제도 : 전문 금융회사(퇴직연금 사업자)에 운용을 맡기는 제도('05년 이전은 개인이 운용할 수 없고 일시불로만 받을 수 있었음) 어디를 고정(확정)해줄 것인가에 따라, 1. 회사가 줄(내가 받을) 돈을 확정하고 싶다면 DB형 -> 귀찮아, 회사가 알아서 모으기만 해줘 ☞ 뒤(=Back)를 고정해달라고 외우면 쉽다고 알려줌.ㅎㅎ 2. 모은 액수를 고정하고 싶다면 DC형 -> 투자해서 불려야지, 내가 알아서 할게 퇴직금 .. 2022. 12. 19.
NH투자증권(나무)에서 미래에셋증권으로 외화이체하기(꿀팁) 나 같은 경우는 외화 환전은 수수료가 싼(우대율 100%) NH투자증권을 사용중이고, 해외 거래수수료는 미래에셋증권이 더 싸서 미래에셋을 사용중이다. NH증권은 외화연계계좌가 농협, 우리은행이 가능하고, 미래에셋은 국민은행, 하나은행이 가능하다. 중간다리가 없어 NH에서 환전하고 미래에셋으로 돈을 보내지 못한다는 것. 하지만, 여기저기 찾아보고 '달러 수수료 없이' 가능한 방법을 알아냈다. 사전 작업이 필요하지만 가능한게 어디인가!ㅎㅎ 1. 사전 작업 1) 하나은행의 본인 명의의 외화 보통계좌를 하나 만든다. 2) NH투자증권을 방문하여(전화는 안됨) 주 은행의 외화계좌(보통계좌)를 출금계좌로 신청한다. 이 때 주 은행은 당연히 하나은행을 말한다.(NH앱에 이 계좌를 등록할 필요는 없음) 3) 미래에셋증.. 2022. 12. 16.
엔화에 투자하는 방법 외화예금통장을 정리하다가 소액 남아있는 엔화와 유로화를 발견하였다. 오늘자 엔화 환율은 957.97원. 역대급 엔저 시기인 요즘, 아직 원화로 바꾸기엔 아까운 타이밍이다. 오를때까지 잠시 굴릴 방법을 찾아보았다. 먼저, 은행의 입출금 계좌를 살펴보니 금리가 0% 이다. 외화예금 상품을 찾아봤는데, 이것 역시 0%. (유로화는 약간의 이율이 있다) 요즘 금리가 쏠쏠하니 증권사 해외 RP 상품도 찾아보았다. 달러 상품밖에 없네.. 일본 중앙은행이 제로금리 정책이라 투자할 방법이 없구나. 아무도 이자를 안준다. 그리하여 엔화투자 방법은 두가지밖에 없는것 같다. 1. 환전하여 현금 보유(은행, 증권) 원화를 은행 또는 증권앱에서 환전하여 보유하는 방법이다. 엔화가 일정 기준 이상 오르면 환전우대를 최대한 받아 .. 2022. 12. 1.
[UX 공부 일지] 독학 시작, coursera 강의 입문기 본격적으로 UX 공부를 시작하였다. 최종 목표는 사이드 프로젝트로 여러 과제를 해보면서 특정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이다. 나의 상황은, UX를 전공했으나 회사 경력 기간동안 UX 리서치만 수행해서 (UI에 가까운) UX 디자인은 해본 적이 없으며, 따라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가미된 프로젝트의 포트폴리오가 전무하다. 현재대로라면 앞으로도 회사 업무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를 해볼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독학을 선택하게 되었다. 연습용 커리큘럼 찾기 스케치나 피그마 등 관련 툴에 아직 익숙하지 못한 나. 툴에도 익숙해지고 UX 프로토타입이 나오기까지 일반적인 프로세스도 체화할 수 있도록 참고할 수 있는 커리큘럼이 필요했다. 1. 유투브 먼저, 유투브를 찾아보았다. 툴 사용에 대한 동영상이 생각보다는 많지 .. 2022. 7.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