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적금의 금리를 비교해주는 사이트를 정리해본다.
추가로 알게되면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1. 네이버
가장 익숙하고 편한 방법. 네이버 검색창에 은행 금리, 예금 금리 등으로 검색하면 이런 정보를 보여준다.
CMA 금리까지 알려줘서 편하다.
2. 금융감독원(금융상품한눈에)
https://finlife.fss.or.kr/deposit/selectDeposit.do?menuId=2000100
홈|저축|예금 |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시스템
※ 아래 대상에 해당하는 거주자가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입대상) 만 65세 이상인 거주자, 장애인,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 또는
finlife.fss.or.kr
일반은행과 저축은행을 같이 보여준다. 검색옵션이 비교적 세부적이고, 한번에 비교할 수 있어 편하다.
3. 전국은행연합회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deposit_3.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은행연합회라 제1금융권만 모아놓았다. 원하는 은행만 모아 검색할 수 있어 편리하다.
4. 저축은행중앙회
https://www.fsb.or.kr/ratedepo_0100.act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저축은행만 볼 수 있는 사이트.
옵션 전체를 검색해본 화면이고, 아래에는 개별 은행들의 금리가 나와있다.
5. 마이뱅크
https://misaving.mibank.me/deposit
예금금리비교
가장 유리한 예금은 어디서?
misaving.mibank.me
가독성 좋은 사이트. 금리가 높은 순서로 보여주니 새마을금고가 먼저 보인다.
휴대폰 어플로도 제공하고 있다.
6. 모네타
http://finance.moneta.co.kr/saving/bestIntCat02List.jsp
MONETA - 예적금대출
finance.moneta.co.kr
검색 옵션은 제공하지 않고 최고 금리 순서로 리스트만 담백하게 보여준다.
주기적으로 들어가보면 상위 순위로 올라오는 낮익은 단골 은행들이 있다.
7. 개별 은행 사이트
위에 소개한 비교 사이트들은 하루전의 금리, 즉 실시간 정보는 아니다보니 정확하지 않을수 있다.
개별 은행에 들어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생기는데, 자주 가게되는 제2금융권 2개 은행을 스크랩해본다.
1) 새마을금고
https://www.kfcc.co.kr/map/main.do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서 '금고위치안내' 메뉴로 들어간다.
원하는 지점의 키워드를 넣고, 검색결과 오른쪽의 '금리' 버튼을 눌러 개별 지점의 상품별 금리를 확인할 수 있다..
2) 신협
신협은 개별 지점마다 홈페이지가 있어 확인하기가 매우 불편한데, 한군데에서 찾을 수 있는 사이트도 있다.
http://cu.co.kr/cu/ad/inrstGuidanceList.do?mi=100048
신협 홈페이지
신협홈페이지입니다.
www.cu.co.kr
원하는 지점의 키워드를 넣거나 지도에서 행정구역을 찾아 들어가면,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화면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보면 결과 리스트가 쭉 나오고, 한 지점을 클릭하면 아래에 금리가 안내되어 나온다.
댓글